센텀파킨슨재활병원 이루다의 한 걸음씩 나아가는 파킨슨 치료
- 작성일 25-03-05
- 조회 082
안녕하세요
센텀이루다재활요양병원입니다.
파킨슨병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치매 다음으로 흔히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손떨림이나 몸의 경직 증상이 나타나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일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우리 이루다는 파킨슨환자분의 사례를 바탕으로 어떤 재활치료를 진행했는지
공유하고 학습하기위해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케이스 스터디를 진행하기에 앞서, 재활의학과의 최경인 과장님께서
파킨슨병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고 환자분의 상태를 소개하셨습니다.
파킨슨병은 뇌간의 중앙에 존재하는 뇌흑질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됨으로써
움직임에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동증상
1) 떨림(진전) (resting tremor)
2) 경직(rigidity) → 추후 구축(contracture)
3) 서동(bradykinesia) - 행동이 느려짐
4) 자세불안정(postural instability)
5) 보행이상(gait disturbance)
기타 운동증상
구음장애, 연하장애, 침흘림 : 안면-구강-인후부의 서동과 강직으로 인해 동반
음성장애 : 단조로움, 숨이 찬 듯한 음성, 말을 할 수록 점점 소리가 작아지고 웅얼거림
호흡장애 : 병이 초기에도 관찰된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가 호소하지않고 후기 증상으로 나타남

환자분의 연하 검사 결과에서는 젤리와 같은 음식을 드실 때
혀의 운동과 씹는 기능이 떨어져 덩어리를 하나로 만들지 못하거나
여러 차례 드시는 등 연하 기능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운동증상
1) 신경 정신 증상
2) 인지 기능 저하
3) 자율신경계 이상과 배뇨배변 장애
4) 수면 장애
5) 기타 - 통증, 무감각, 피로, 후각 저하 등
환자분께서는 파킨슨병을 몸을 무겁게 하는 병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과장님께서는 이를 인상깊게 여겨 인용하셨고,
추가적으로 파킨슨 병은 퇴행성 질환임을 꼭 인지해야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최경인 과장님의 친절하고 상세한 설명 덕분에 모두가 집중하는 분위기에서 케이스 스터디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 발표는 5병동의 물리치료사 김부경 선생님과 작업치료사 이선희 선생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의 환자분은 파킨슨병과 사지마비 진단을 받으시고 재활 치료를 위해 입원하신 케이스입니다.
환자분의 목표는 보조 도구를 이용해서라도 스스로 걷고 상의를 입는 것입니다.

물리치료에서의 문제점은, 다양한 동적자세에서의 수행 어려움을 겪고계셨습니다.
양쪽 무릎의 통증으로 인해 양하지가 쇠약해지고 경직된 상태였으며, 코어 근육도 약화되었습니다.
또한 요방형근 및 햄스트링이 단축되어 있고 골반 움직임이 줄어들어
서 있을 때 균형을 잡는 기능이 저하되었기에 보행 시 체중 이동과 부하가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환자분의 재활 단기 목표를
체간코어 안정 향상,
고관절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의 향상(Fair-에서 Fair),
서있을 때의 균형기능 향상(Poor에서 Fair),
높은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여(치료사 중간정도의 도움) 보행가능하게끔 하는 것으로 잡았습니다.
장기 목표로는
고관절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의 향상(Fair에서 Fair+),
서있을 때의 균형기능 향상(정적일때에 Fair에서 Good, 동적일 때에Zero에서 Poor),
높은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여(치료사 최소치의 도움) 보행가능하게끔 잡았습니다.
물리치료 계획




1. 몸통 조절 능력 향상
- 몸통 근력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운동 프로그램
- 앉은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움직이는 운동 프로그램
- 손 뻗기를 통해 상지기능과 균형을 향상시키는 운동 프로그램
2. 코어 근육 강화를 목적으로 신체 재정렬
- 골반 움직임 증가 및 신체 재정렬
- 고관절 굴곡근 강화 운동 및 하지 근력 강화 운동
3. 안정적 반전 기법 적용하여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하는 훈련
4. 앉은 자세에서 서는 훈련을 실시한 후, 높은 보행 보조기를 사용해 보행 훈련을 진행하는 운동 프로그램
작업 치료에서의 문제점은 환자분이 일상생활 활동 수행 시 최대한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이는 오른쪽 손목 골절로 인한 기능 제한과 몸통 안정성 저하로 인해 어깨 움직임이 제한됐기 때문입니다.
또한 양쪽 손의 근력이 감소하여 손으로 물건을 잡거나 일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했습니다.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장기목표로는 적은 도움만으로 단추가 있는 환자복을 스스로 입을 수 있도록하며,
단기목표로는 코어와 손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작업치료 계획 1.
이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일상생활 활동 훈련을 준비했습니다.
치료사의 교육 이후에 스스로 옷을 입으시는 작업을 수행했으며, 작업치료를 위해 도구를 활용해 진행했습니다.
작업치료 계획 2.
두번째로 코어 활동을 하기위해 누운 상태에서 상체 비틀기 운동, 고리 활용한 상체 들기 운동, 짐볼 활용한 데드버그 운동을 실시했습니다.
작업치료 계획 3.
마지막으로 손 근력 활동을 통해 손의 근력의 강화하고 기능을 향상시켰습니다.
Power web사이로 바둑알 꺼내기, 쥐었다 펴기를 하셨으며 Putty를 활용해 수제비를 만들고 빨래집게를 진열대에 집어보는 등 활동을 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연하재활치료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얼굴 근육과 혀의 움직임이 감소하여 음식물 덩어리 형성과 저작에 어려움을 겪고 계셨습니다.
이로 인해 구강 단계의 전반적인 기능이 저하된 상태셨습니다.
또한 후두 상승이 감소하여 액체 식이에서 기도로 침입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구강단계기능을 향상시키고,
단기적으로는 얼굴 근육 및 혀의 움직임과 힘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연하재활치료 계획
1. 얼굴 및 입술 운동
- 거울보며 표정 따라하기
- 설압자 좌, 우로 옮기기
- 아, 에, 이, 오, 우 따라하기
2. 혀 힘 강화 운동
- 혀를 이용해서 '똑딱' 소리내
- 혀 저항 운동
3. 저작 운동
- 부드러운 바나나부터 시작하여 씹는 능력 향상

마지막으로 환자분에게 낙상예방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일어설 때 발판을 올려야하며, 휠체어를 탈 때는 벨트를 꼭 매셔야하고
침상에 계실 때는 안전바를 올려야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인지시켜드렸습니다.
성공적으로 발표를 마친 뒤, 서로 피드백하는 시간을 갖기 위해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졌습니다.
궁금한 점을 질문하고 이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며 발표했던 사람 더 배워나갈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이루다재활병원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케이스 스터디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들은 환자들에게 더욱 나은 치료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발판이 되고 있으며,
병원의 전반적인 성장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루다병원은 환자의 건강과 행복을 최우선으로 삼아, 지속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